포스테키안 타일형 리스트형 최신호 보기 지난호 보기 전체 전체 제목 내용 검색어 입력 2023 179호 / POSTECH ESSAY 천둥‘벌거숭이’를 이끌던 20대의 젊은 우리 ‘골목대장’ 안녕하세요, 포스테키안 독자 여러분. 이 글은 1997년 저의 고등학교 담임선생님께 드리는 편지입니다. 사실 선생님과 연락이 닿은 지는 오래되었지만, 드리고 싶은 말씀을 담아 이 글을 씁니다. 저에게 인문학적 소양의 중요성을 깨우쳐 주신 선생님께 감사드리며, 미래 포스텍에서 과학자를 꿈꾸는 여러분이 이러한 소양을 2023-08-21456 2023 179호 / 알리미가 만난 사람 <박진익 선배님과의 이야기> 하고 싶은 일을 두려워 마세요. 도전 정신과 자신감이 여러분을 만듭니다. 여러분은 미래에 어떤 일을 하며 살고 싶나요? 포스테키안을 읽고 계신 여러분 중에는 아마 공대에 진학하고 싶은 분들이 많을 것 같은데요. 공대를 나오면 주로 졸업 후 연구원, 박사, 관련 업계 취업 등의 진로를 생각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알리미가 2023-08-21372 2023 179호 / 알턴십 <알리미의 일일 인턴 체험기!> 원소프트다임 안녕하세요, 포스테키안 독자 여러분! 알리미가 직접 교내외 유명 기업이나 연구소를 방문하여 일일 인턴 체험을 해보는 알턴십이 벌써 열 번째 이야기로 돌아왔습니다. 주변만 둘러봐도 운동을 정말 열심히 하는분들이 많은데요, 구독자 여러분들도 운동 열심히 하고 계시나요? 이번 호에서 알턴십으로 방문한 기업은 운동하는 사람의 2023-08-21172 2023 179호 / 포커스 <고등학생 기자단 포커스 9기 류순민 교수님을 만나다!> 안녕하세요! 포커스 9기로 활동하게 된 청주에 위치한 흥덕고등학교 2학년 박지연, 조영은입니다. 저희는 화학과에서 레이저 분광학을 이용한 저차원 물질의 물성 연구를 하고 계신 류순민 교수님과 인터뷰를 진행하였는데요. 교수님의 연구를 접하며 생긴 호기심과 궁금증에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기사에 담아보았습니다. 2023-08-21188 2023 179호 / 기획특집 ① / 마약 마약: DRUGS 최근 마약과 관련한 다양한 범죄가 발생함에 따라, 우리나라도 더 이상 ‘마약 청정국’이 아니라는 인식이 널리 퍼지기 시작했습니다. 마약 문제는 한국을 비롯한 전 세계에서 발생하며 모두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는데요. 펜타닐 등 점점 더 많은 마약들이 개발되며 그 위험성 또한 강조되고 있습니다. 마약은 섭취 시 뇌의 신경회로에 작용하여 비정상적인 쾌감을 발 2023-08-21440 2023 179호 / 기획특집 ➁ / 마약 [약동학 관점에서 바라본 합성 마약의 위험성] 지금까지 쾌감 회로의 작용과 마약 중독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초기 마약은 식물에서 얻어낸 천연 물질에서 시작했지만, 현대 과학이 발전하며 이를 화학적인 방법으로 처리한 합성 마약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요즘 다양한 매체에서 메스암페타민이나 필로폰 등의 합성 마약이 천연 마약보다 위험성이 높다고 강조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23-08-21388 2023 179호 / 기획특집 ③ / 마약 [약력학 관점에서 바라본 마약] 이전 꼭지들에선 중독과 쾌감 회로, 그리고 약동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합성 마약을 다루었습니다. 연예인들의 필로폰 투약 기사, 미국 펜타닐 중독 등 자주 이름을 접해본 마약들이 체내에서 어떻게 작용하고, 우리 인체에 어떤 악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이번 꼭지에서는 독자 여러분들이 들어보았을 법한 마약들의 작용을 약력학의 관점에서 2023-08-21317 2023 179호 / HELLO NOBEL [2022 튜링상] 이더넷의 발명, 표준화, 상업화에 대한 공헌 이번 헬로노벨에서는 컴퓨터공학 분야의 노벨상이라고 할 수 있는 ‘튜링상’의 2022년도 수상자인 밥 멧칼프 박사님(Prof. Robert “Bob” Melancton Metcalf)과 그가 발명한 이더넷(Ethernet)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s://amturing.acm.org/awa 2023-08-21268 2023 179호 / 최신 기술 소개 [전기차 6분 만에 완충시키는 배터리 음극재] 전기차 연구는 오래전부터 이어져 왔지만, 리튬 이온 배터리의 에너지 용량 제한으로 인해 아직 전기차가 보편화되지는 않았는데요. 최근 리튬 이온 배터리의 성능을 크게 개선할 기술이 개발되었다고 합니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김원배 교수를 비롯한 연구진은 망간-철 산화물을 나노미터 두께의 시트 형태로 합성하여 새 음극재를 개발했습니다. 2023-08-21375 2023 179호 / 포스텍 연구실 탐방기 포스텍 자기힘현미경 연구실 POSTECH MFM (Magnetic Force Microscopy Laboratory) 자기힘현미경 연구실(Magnetic Force Microscopy Laboratory)에서는 직접 구축한 극저온 자기힘현미경을 이용하여 초전도체를 포함한 다양한 자성 물질들의 국소적인 자성 이미징을 통해 물질들의 자성 정보 및 물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2023-08-21228 12345678910다음페이지로 이동마지막페이지로 이동 2023년 2023년 2022년 2021년 2020년 2019년 2018년 2017년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2011년 2010년 2023년 [179호] 주요 기사들 마약-DRUGS / 2022 튜링상 /포스텍의일상을그려박서연 2023-08-210 2023년 [178호] 주요 기사들 기획특집_ChatGPT /알리미 온에어_알리미의 갓생 V-log /공대생이 보는 세상_공원 2023-05-090